본문 바로가기

메인 공부 (1차 정리)/자동차, 친환경차, 전기모터42

전기차] 배터리의 적절한 온도 & 온도 조절을 위한 히트펌프 시스템 - 배터리의 적절한 온도 - 고온, 저온에서의 배터리 - 적정온도 유지를 위한 히트펌프 시스템 배터리 온도 배터리의 반응성과 성능이 가장 좋은 온도 범위가 15-40도 라고 합니다. 보통 배터리, 전자제품의 열관리를 생각하면 제품의 사용으로 방출되는 열을 잡고자 하는 냉각시스템을 생각하지만 전기차의 배터리는 히팅시스템도 필요합니다. 바깥 기온이 영하권으로 떨어지고 아주 추운 날에는 핸드폰의 배터리가 쉽게 방전되듯, 전기차의 배터리도 최고의 성능을 낼 수 있는 온도값을 유지해주어야 합니다. 고온, 저온에서의 배터리 고온환경에 노출 시: 화학적 부반응(우리가 원하는 전기화학이 아닌 일반화학반응)으로 인한 가스발생 및 팽창 -> 내부저항 증가 및 비가역적인 용량 감소 저온환경에 노출 시: 출력저하, 저온에서 .. 2022. 3. 10.
전기차] 배터리 재생기술, 폐배터리 재사용/재활용 - 배터리 재사용/재활용 - 폐배터리 재사용 - 폐배터리 재활용 배터리 재사용/재활용 앞으로 배터리 생산량을 생산한 재사용/재활용 방안 필요 특히 리튬의 경우, 원산지가 제한적인 한계가 존재 자원의 재활용이 필요 폐배터리 ~ 재조립하여 다른 목적으로 사용 or 재료단위로 분해하여 유가원소 회수(경제성 제고) 폐배터리 재사용 폐배터리 재사용(reuse): 폐배터리팩을 검사하여 다시 사용(direct reuse)하거나 분해하여 재조립(module reconfiguration)하여 다시 사용하는 방법 폐배터리 재활용 폐배터리 재활용(recycle): 배터리를 전처리공정(해체공정), 자원회수공정(화학공정)을 통해 재처리하여 유가원소(구리, 코발트, 니켈, 망간 등)를 회수하는 방법 폐 리튬이온전지 내 유가원소 .. 2022. 3. 9.
전기차] 배터리 안전성 평가, Abuse test (Mechanical, Thermal, Electrical) - 전기차 배터리 안전성 검사, abuse test - 배터리의 기계적 안전성 검사, mechanical abuse test - 배터리의 열적 안전성 검사, thermal abuse test - 배터리의 전기적 안전성 검사, electrical abuse test 전기차 배터리 안전성 검사, abuse test Abuse test (Mechanical, Thermal, Electrical) 진동 충격 혹한기 혹서기, 가혹한 상태에 놓여있음 ~ 안전성 평가 필요 (기계적, 열적, 전기적) 배터리의 기계적 안전성 검사, mechanical abuse test Mechanical abuse test: 기계적 위험상황을 시험평가/shock/drop/penetration/roll-over/immersion 충격시.. 2022. 3. 8.
전기차] TMS 개발절차, TMS 종류, 각각의 설계 - 전기차 배터리 TMS 개발절차 - 전기차 배터리 TMS 종류 - 전기차 배터리 TMS, 공랭식 - 전기차 배터리 TMS, 수냉식 전기차 배터리 TMS 개발절차 (1) 배터리셀 기초 데이터 획득: 열물성, 내부저항, 발열량 -> 배터리팩 layout 검토(얻은 데이터로 검토) 및 냉각방식 결정(공?수?) (2) 배터리 모듈/팩 설계 (3) 배터리모듈/팩 3차원 열해석 ~ 배터리팩 내부에 열이 균일? 열저항 얼마(해석값)? (4) 시제품 제작 및 실험 – 열적 거동을 테스트 – 실제 열저항(실험값) 획득 (5) 실제 열저항 값을 가지고 3차원 열해석 재수행 – 설계개선 및 해석모델 보완 – 열저항 보정 ~ 시뮬레이션 값의 정확도를 높인다. (6) 최종적으로 얻은 열저항 값을 가지고 long-term si.. 2022. 3. 6.
전기차] 배터리 발열량, 열물성 측정 - 배터리 발열량 계산- 배터리 발열량 측정- 배터리 비열- 배터리 열전도도 배터리 발열량 계산 에너지저장량 + 방열량 + 발열량 = C배터리셀의 에너지 밸런싱식배터리셀의 온도 변화 = 방열량 + 발열량 발열요인, 발열량 계산: Irreversible = 반응렬과 오믹열 = 항상 발열Reversible: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방전할 때 달라진다외부에 보이는 많은 요인들을 인자를 이용하여 내부저항 간단히 표현   배터리 발열량 측정 발열량 측정: 풍동시험을 통해 배터리셀과 같은 크기의 시편을 두고 풍동 열풍의 특정 모형/사이즈에 대한 대류열전달계수를 획득한 후, 다시 배터리셀을 두고 에너지 보존식을 통해 발열량 산출배터리 발열에 영향 주는 요인: 전류, SOC, 이온전도도   배터리 비열 비열~배터리셀이 .. 2022. 3. 4.
전기차] 차량용 배터리 계통도, 배터리팩 주요 부품/구성 - 배터리팩 계통도 - Electrical power (배터리) - Electrical connection (HV: High Voltage) - Electrical connection (LV: Low Voltage) - Thermal management system (TMS) - Structure (구조) - Safety (안전 관련) - Control (시스템 컨트롤, 조절 관련) 배터리팩 계통도 배터리팩: 화학제품인 배터리를 열 및 기계적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제어하기 위해 다수의 배터리를 적층한 후 패키징하여 기계부품화 한 것 Cell -> Module -> Pack -> Vehicle 필요 내용(전공): 소재&화학 + 기계(구조,안전성,열) + 전기전자&컴(센싱, 컨트롤) CMA (Cell Mod.. 2022. 3.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