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계공학/열전달9

[열전달, 전기모터] 열 등가회로법 - 열저항개념, 열저항 산출 - 열 등가회로법이 실무에서 어떻게 사용될까 - 열등가회로, 열회로도란 & 수식의 의미 및 실제와의 연결성 - 열등가회로의 사용 열 등가회로법이 실무에서 어떻게 사용될까 자동차의 전기모터를 통해 얘기 해보겠습니다. 기존 자동차에서도 내연기관의 다량의 에너지가 열 진동 소음으로 빠져나가며 효율이 상당히 좋지 않았습니다 (효율 외적인 내용은 전부 열 진동 소음 등의 사용 못하는 loss로 방출) 점점 하이브리드 전기차로의 변화 트랜드에서 위의 차량에 들어가는 전기모터의 발전 방향에 따라 방열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전기모터가 패키징 소형화, 가볍게, 하지만 거기서 효율과 출력을 높이기 위해 콤펙트한 사이즈에서 최고의 효율을 내기 위해선 온도를 적정량 유지시켜줄 필요가 있습니다. 콤펙트한 사이즈가 .. 2023. 9. 27.
열전달과 열역학의 구분, 간단 정리, 어떻게 사용되는지 + 열역학 법칙(0~3) - 열전달 - 열역학, 열역학 법칙들 - 마치며 열전달 열전달 자체가 목적 : 차량 내부의 냉난방 장치, 에어컨, 냉장고 등의 경우 열 에너지 자체를 이용하는 시스템으로서 열의 효율적인 전달 및 이용이 필요하다 효율적인 전달 및 이용이란 : 단열, 목적하는 열전달 외의 열전달을 최소화 하는 것 증발 - 압축 - 응축 등의 과정을 거치며 열 효율을 높이는 방법 활용 열전달은, 열의 발생 후 이동이 목적. 열의 발생이 원치 않는 부산물일 경우, 이를 시스템 밖으로 이동시켜 제거 (냉장고/에어컨/전기모터) : 냉장고 안의 냉각 / 특정 공간의 냉각 / 모터, 배터리, 인버터, CPU 등의 냉각 특정 공간을 냉각해두면 공간 외부의 고온이 침입 특정 공간에서 활동하는 생물이나 시스템/물건에서 열이 발생 (사람, .. 2022. 11. 1.
[열전달] 핀(Fin)의 필요성과 열흐름의 해석 Fin의 필요성 사양이 높은 컴퓨터를 조립하면, 그 속에 들어가는 CPU를 쿨링해주는 Heat sink인 Fin 구조가 촘촘하니 높게 올라서 있는걸 볼 수 있습니다. 물론 Fin만 있는 것이 아닌, 정말 좋은 녀석들은 Heat pipe가 들어가서 cooling을 더 효율적으로 해줍니다. Fin은 열 흐름에서 대류의 흐름을 좋게 해주기 위해 고안된 구조입니다. 2020/04/15 - [정리, 공부해요/기계공학] - [열전달] 대류(convection), 어떻게 하면 열 효율을 좋게 할지 [열전달] 대류(convection), 어떻게 하면 열 효율을 좋게 할지 대류(convection) 대류의 간단한 개념에 대해선 이전에 다뤘습니다. 2020/01/15 - [정리, 공부해요/기계공학] - [열전달] 열전달 .. 2020. 4. 16.
[열전달] 대류(convection), 어떻게 하면 열 효율을 좋게 할지 대류(convection) 대류의 간단한 개념에 대해선 이전에 다뤘습니다. 2020/01/15 - [정리, 공부해요/기계공학] - [열전달] 열전달 종류(전도/대류/복사) [열전달] 열전달 종류(전도/대류/복사) - Ground state - 열전달, 전도/대류/복사​ Ground state ​ ​ 움직이지 않는 상태, 모든 particle의 자유도가 없어. 절도온도 0K Random K.E 없어. But,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한다. 지금까진 절대온도 0을 구.. setoo0922.tistory.com 열의 전달방식 중 유체의 흐름을 활용하는 것이 대류입니다. 대류의 영향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공기와 물이 강제로 흐르고 자연스레 흐를 때의 h 값 비교 (h: convective heat transfer.. 2020. 4. 15.
[열전달] 저항개념, 접촉저항(Interfacial Resistance) ​- 열저항 - 접촉저항 (interfacial resistance) - product 디자인에서 온도에 따른 팽창 정도 - Eigen value = 고유값/고유벡터 - 절연처리(Insulation) 열저항 저항을 생각하면, 우선 회로의 저항과 연결하여 생각하기 쉽다. 그 저항이 맞다. 다만, 여기서는 열 흐름을 억재하는 저항을 나타낸다. 두 식을 비교하면, 에너지를 대변하는 I & q 이들은 potential(V, T) 차이에 의해 선형적으로 변한다. 그렇게, 열흐름 식의 남은 부분(-kA/L)의 역수를 저항으로 취해준다. ​ 저항의 구성을 보면, 전도성(물성, 물질에 따라 결정)인 k와 물질의 사이즈나 모양(A단면적, L길이)에 의해 결정된다. 즉, 시스템을 디자인 함에 있어, 저항은 초기에 물질과 .. 2020. 2. 6.
[열전달] 전도성(Conductivity), 수용력(Capacity), 열확산성(Diffusivity) - 전도성(conductivity) - 수용력(capacity) - 열확산성(diffusivity)​ ​- 모아보면, 참고 ​ 전도성(Conductivity) 전도성은 앞서 자세히 다뤘고, 다시 간단히 말하자면 에너지를 얼마나 빨리 전달해주냐의 수치이다. ​ 2020/02/05 - [정리, 공부해요/기계공학] - [열전달] 전도성(Conductivity), 수용력(Capacity), 열확산성(Diffusivity) [열전달] 전도성(Conductivity), 수용력(Capacity), 열확산성(Diffusivity) ​ ​ ​ 전도성(Conductivity) 전도성은 앞서 자세히 다뤘고, 다시 간단히 말하자면 에너지를 얼마나 빨리 전달해주냐의 수치이다. ​ ​ ​ 수용력(Capacity) 처음에 열 에너.. 2020. 2.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