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전달과 열역학의 구분, 간단 정리, 어떻게 사용되는지 + 열역학 법칙(0~3)
- 열전달 - 열역학, 열역학 법칙들 - 마치며 열전달 열전달 자체가 목적 : 차량 내부의 냉난방 장치, 에어컨, 냉장고 등의 경우 열 에너지 자체를 이용하는 시스템으로서 열의 효율적인 전달 및 이용이 필요하다 효율적인 전달 및 이용이란 : 단열, 목적하는 열전달 외의 열전달을 최소화 하는 것 증발 - 압축 - 응축 등의 과정을 거치며 열 효율을 높이는 방법 활용 열전달은, 열의 발생 후 이동이 목적. 열의 발생이 원치 않는 부산물일 경우, 이를 시스템 밖으로 이동시켜 제거 (냉장고/에어컨/전기모터) : 냉장고 안의 냉각 / 특정 공간의 냉각 / 모터, 배터리, 인버터, CPU 등의 냉각 특정 공간을 냉각해두면 공간 외부의 고온이 침입 특정 공간에서 활동하는 생물이나 시스템/물건에서 열이 발생 (사람, ..
2022. 11. 1.
[열전달] 저항개념, 접촉저항(Interfacial Resistance)
- 열저항 - 접촉저항 (interfacial resistance) - product 디자인에서 온도에 따른 팽창 정도 - Eigen value = 고유값/고유벡터 - 절연처리(Insulation) 열저항 저항을 생각하면, 우선 회로의 저항과 연결하여 생각하기 쉽다. 그 저항이 맞다. 다만, 여기서는 열 흐름을 억재하는 저항을 나타낸다. 두 식을 비교하면, 에너지를 대변하는 I & q 이들은 potential(V, T) 차이에 의해 선형적으로 변한다. 그렇게, 열흐름 식의 남은 부분(-kA/L)의 역수를 저항으로 취해준다. 저항의 구성을 보면, 전도성(물성, 물질에 따라 결정)인 k와 물질의 사이즈나 모양(A단면적, L길이)에 의해 결정된다. 즉, 시스템을 디자인 함에 있어, 저항은 초기에 물질과 ..
2020. 2. 6.
[열전달] 전도성(Conductivity), 수용력(Capacity), 열확산성(Diffusivity)
- 전도성(conductivity) - 수용력(capacity) - 열확산성(diffusivity) - 모아보면, 참고 전도성(Conductivity) 전도성은 앞서 자세히 다뤘고, 다시 간단히 말하자면 에너지를 얼마나 빨리 전달해주냐의 수치이다. 2020/02/05 - [정리, 공부해요/기계공학] - [열전달] 전도성(Conductivity), 수용력(Capacity), 열확산성(Diffusivity) [열전달] 전도성(Conductivity), 수용력(Capacity), 열확산성(Diffusivity) 전도성(Conductivity) 전도성은 앞서 자세히 다뤘고, 다시 간단히 말하자면 에너지를 얼마나 빨리 전달해주냐의 수치이다. 수용력(Capacity) 처음에 열 에너..
2020. 2.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