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두이노 외부전원3

아두이노, 펠티어 ~ -40도 온도 PID컨트롤 + 액셀 데이터 키핑 + LCD스크린 - 아두이노를 사용해 - 코드 - 회로 - 참고할 포스팅 아두이노를 사용해 아두이노를 사용해 실험실에서 간단한 실험을 할 때, 테스트용으로 자동화를 하고자 했었습니다. 해당 내용을 담은 포스트 입니다 :) 이전까지 차근차근 단계를 밟아오며 단계별로 포스팅을 해두었기에,, 보고서 도움되겠다, 궁금하다 싶으다면 이전 포스팅을 참고 바랍니다 !.! (페이지 하단에 관련 링크 달아두겠습니다.) 코드 PID, PWM, LCD 라이브러리 사용 라이브러리 내용을 조금 포트/시스템에 맞게 수정 코드의 자세한 사항은 아래에 이전포스팅 링크를 달아두겠습니다 :) 코드를 짧게 이쁘게 짤 재주는 아직 없기에 깁니다 .. 스크롤 박스에 넣어두었으니 스크롤 내리며 참고 하시면 되겠습니다 :) #include #include #i.. 2022. 1. 29.
아두이노, 외부전원, Barrel jack, 전선 처리/활용 - 아두이노에서 외부전원 사용 - 12V 10A 어댑터 전선 처리 - 5V 1A 어댑터 전선 처리 아두이노에서 외부전원 사용 2020/09/14 - [정리, 공부해요/아두이노] - 릴레이 모듈, 아두이노에 외부 전원(12V)이 필요한 장치 컨트롤 릴레이 모듈, 아두이노에 외부 전원(12V)이 필요한 장치 컨트롤 - 릴레이 모듈 - 릴레이 내부 구조 - 릴레이 연결 회로 - SSR(Solid State Relay) 릴레이 모듈 (Relay module) 릴레이 모듈은 간단히 보면 스위치이고, 낮은 전압과 전류 신호로 높은 전압과 큰 전류를 가지� setoo0922.tistory.com 여러 방법이 있겠지만, 저는 릴레이 모듈을 사용해서, 외부전원을 받아, 고전력이 필요한 장치들을 컨트롤 했습니다. 이번 포.. 2020. 9. 28.
릴레이 모듈, 아두이노에 외부 전원(12V)이 필요한 장치 컨트롤 - 릴레이 모듈 - 릴레이 내부 구조 - 릴레이 연결 회로 - SSR(Solid State Relay) 릴레이 모듈 (Relay module) 릴레이 모듈은 간단히 보면 스위치이고, 낮은 전압과 전류 신호로 높은 전압과 큰 전류를 가지는 장치를 제어할 수 있게 도와주는 중간 장치입니다. 릴레이 모듈의 선택에 있어: 제어신호 전압별 : 제어측에서 사용하는 전압의 종류별로 3V용,5V용,12V용이 있는데 아두이노 환경에서는 5V를 사용하므로 5V용을 사용하면 됩니다. 제어할 수 있는 전력별 : 통상 아두이노용 소형 릴레이도 AC 250V 10A, DC 30V 10A까지 사용 가능하다고 되어 있으나 이의 절반 정도의 전력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큰 전력을 사용할 때에는 릴레이의 용량에도 주의해서 선정해야 합니.. 2020. 9.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