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열저항2

[열전달, 전기모터] 열 등가회로법 - 열저항개념, 열저항 산출 - 열 등가회로법이 실무에서 어떻게 사용될까 - 열등가회로, 열회로도란 & 수식의 의미 및 실제와의 연결성 - 열등가회로의 사용 열 등가회로법이 실무에서 어떻게 사용될까 자동차의 전기모터를 통해 얘기 해보겠습니다. 기존 자동차에서도 내연기관의 다량의 에너지가 열 진동 소음으로 빠져나가며 효율이 상당히 좋지 않았습니다 (효율 외적인 내용은 전부 열 진동 소음 등의 사용 못하는 loss로 방출) 점점 하이브리드 전기차로의 변화 트랜드에서 위의 차량에 들어가는 전기모터의 발전 방향에 따라 방열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전기모터가 패키징 소형화, 가볍게, 하지만 거기서 효율과 출력을 높이기 위해 콤펙트한 사이즈에서 최고의 효율을 내기 위해선 온도를 적정량 유지시켜줄 필요가 있습니다. 콤펙트한 사이즈가 .. 2023. 9. 27.
[열전달] 저항개념, 접촉저항(Interfacial Resistance) ​- 열저항 - 접촉저항 (interfacial resistance) - product 디자인에서 온도에 따른 팽창 정도 - Eigen value = 고유값/고유벡터 - 절연처리(Insulation) 열저항 저항을 생각하면, 우선 회로의 저항과 연결하여 생각하기 쉽다. 그 저항이 맞다. 다만, 여기서는 열 흐름을 억재하는 저항을 나타낸다. 두 식을 비교하면, 에너지를 대변하는 I & q 이들은 potential(V, T) 차이에 의해 선형적으로 변한다. 그렇게, 열흐름 식의 남은 부분(-kA/L)의 역수를 저항으로 취해준다. ​ 저항의 구성을 보면, 전도성(물성, 물질에 따라 결정)인 k와 물질의 사이즈나 모양(A단면적, L길이)에 의해 결정된다. 즉, 시스템을 디자인 함에 있어, 저항은 초기에 물질과 .. 2020. 2.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