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전체4

투자율(permeability), 자기장, 전기장, 차폐기능 - 투자율(permeability) - 자기장(magnetic field) - 전기장(electric field) - 차폐기능 투자율(permeability) 투자율 (permeability: 침투성) μ [H/m] 매질이 주어진 자기장에 대해 얼마나 자화하는지 나타내는 값 2022.02.08 - [정리, 공부/전기, 전자, 통신] - 유전체(Dielectric), 유전상수(Dielectric constant), 유전손실(Dielectric loss value) 자기장(magnetic field) 자기력을 매개하는 벡터장 움직이는 전하, 즉 전류에 의해 발생하거나, 입자 고유의 스핀도 전류와 같은 역할을 하여 자기장 발생 B (자속 밀도, 자기장, magnetic flux density), H (자계 강.. 2022. 2. 8.
유전체(Dielectric), 유전상수(Dielectric constant), 유전손실(Dielectric loss value) - 이전 관련 포스팅들 - 유전체(Dielectric)란 - 유전상수(Dielectric constant)란 - 유전손실(Dielectric loss value)이란 이전 관련 포스팅들 2022.02.05 - [정리, 공부/제품 원리] - 전자기파 차폐 (EMI shielding) 원리, 특징, 반사&흡수, 구조 전자기파 차폐 (EMI shielding) 원리, 특징, 반사&흡수, 구조 - EMI shielding 특징 - 반사, reflection - 흡수, absorption - 구조, structure 용어 몇가지 EMI S = ElectroMagnetic Interface Shielding EMI SE = ElectroMagnetic Interface Shielding Efficiency SER .. 2022. 2. 8.
유전율(permittivity)이란, 유전분극(polarization), 변위전류 ~ EMI S - 유전율(permittivity)이란 - 유전분극(polarization) - 전도전류, 변위전류와 유전율 유전율(permittivity)이란 유전율이란 전하 사이에 전기장이 작용할 때, 그 전하 사이의 매질이 전기장에 미치는 영향 매질이 저장할 수 있는 전하량 같은 양의 물질이라도 유전율이 더 높으면 많은 전하를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전율이 높을수록 전기장의 세기가 감소된다. 그래서 높은 유전율을 가진 물질을 축전기에 넣는 유전체로 사용하면, 축전기의 전기 용량이 커진다. + 유전율이 높은 물질을 차폐기능에 사용한다면 좋은 성능을 보인다. 유전분극(polarization) Polarization(유전분극): 전기장(E)이 물체의 원자 주변의 전자(전자구름)을 자극하면 발생. 전기장의 반대 방향으.. 2022. 2. 7.
축전기(capacitor)에 사용되는 유전체에 대해 - 유전체란 - 유전체의 활용 in capacitor - 전기용량, 유전상수, 유전강도, 유전율 유전체란 전기장 안에서 극성을 지니게 되는 절연체이다. 절연체이므로 전하가 통과하지 않지만, 주변의 전기장의 영향으로 유전체 내의 음전하, 양전하가 그에 맞춰 도열하는 현상이 발생하며 극성을 지니게 된다. 유전체의 활용 in capacitor 유전체가 갖는 고유한 유전율에 따른 유전 상수만큼 전기장의 전위차는 감소하게 되며 유전체는 감소한 전위차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성질 때문에 유전체는 전자기장 안에 있는 물질에 에너지를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축전기(capacitor) 사이에 유전체가 채워지면 유전체가 갖는 고유의 유전상수의 역수배로 전위차가 감소하고 그만큼의 에너지가 축전된.. 2020. 3.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