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도3

[열전달] 핀(Fin)의 필요성과 열흐름의 해석 Fin의 필요성 사양이 높은 컴퓨터를 조립하면, 그 속에 들어가는 CPU를 쿨링해주는 Heat sink인 Fin 구조가 촘촘하니 높게 올라서 있는걸 볼 수 있습니다. 물론 Fin만 있는 것이 아닌, 정말 좋은 녀석들은 Heat pipe가 들어가서 cooling을 더 효율적으로 해줍니다. Fin은 열 흐름에서 대류의 흐름을 좋게 해주기 위해 고안된 구조입니다. 2020/04/15 - [정리, 공부해요/기계공학] - [열전달] 대류(convection), 어떻게 하면 열 효율을 좋게 할지 [열전달] 대류(convection), 어떻게 하면 열 효율을 좋게 할지 대류(convection) 대류의 간단한 개념에 대해선 이전에 다뤘습니다. 2020/01/15 - [정리, 공부해요/기계공학] - [열전달] 열전달 .. 2020. 4. 16.
[열전달] 전도(Conduction) ​- 전도(conduction) - 전도성(k, conductivity) - 원자핵(lattice)에서의 전도성 - 전자(electron)에서의 전도성 - 그외 전도(conduntion) 고체물체 내의, 고체물체 간의 열이동을 전도라 하였다. 고체의 원자/분자의 진동으로 그 에너지(열)가 전달되는 현상이 전도이다. 이전 포스팅에서 원자, Lattice간의 결합이 스프링처럼 되어 있다고 보았다. 2020/01/15 - [정리, 공부해요/기계공학] - [열전달] 열전달 종류(전도/대류/복사) [열전달] 열전달 종류(전도/대류/복사) - Ground state - 열전달, 전도/대류/복사​ Ground state ​ ​ 움직이지 않는 상태, 모든 particle의 자유도가 없어. 절도온도 0K Random K.. 2020. 2. 4.
[열전달] 열전달 종류(전도/대류/복사) - Ground state - 열전달, 전도/대류/복사​ Ground state ​ ​ 움직이지 않는 상태, 모든 particle의 자유도가 없어. 절도온도 0K Random K.E 없어. But,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한다. 지금까진 절대온도 0을 구현치 못했다 한다. ​ ​ ​ 열전달, 전도/대류/복사 ​ ​ ​ ​ 전도(Conduction) ​ 고체/붙어있는 구조에서 원자/분자의 진동으로 인한 에너지 전달. ​ 비교적 원자/분가간 거리가 짧으면 유리하다. (Density가 높으면) 진동을 통해 에너지를 전달하는 고체에서는 Conductivity인 k가 높을수록 전도가 잘되고. + 경도(긁히지 않는 정도)가 높을수록 k가 높고, 전도가 잘된다. ​ ​ ​ 대류(Convection) ​ 유체가 흐르며 .. 2020. 1.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