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열기 열선 원리 - 니크롬선, 전류 흐름, 저항에 따른 발열량
전열기는 저항에 전류를 흘려주어 저항체에서 발열하는 열을 사용하는 기기 (전기측면에서 본다면 에너지 로스: 전류가 그대로 흘러가는게 아닌, 전류 에너지가 열, 빛 등의 여러 에너지, 자연에 친화적이고 안정적인 에너지로 가공이 덜된 에너지로 방출) 백열전구도 전열기와 같게, 저항체인 필라멘트에 전류를 흘려주면, 열이 발생하고 온도가 높아지며 백색광의 빛을 낸다 일전에 간단한 대류 열시험을 할 때도 발열원에 구리파이프에 니크롬선을 감아, 니크롬선에 전압을 주어 전류를 흘려줌으로써 발열원을 만들었고 구리파이프 대신 네모난 박스형태를 줄 때도, 네모난 구리박스에 전열기 파이프를 박아넣어, 전열기에 전압을 주고 전류를 흘려줌으로써 발열원을 만들었다. 2021.05.12 - [정리, 공부/기계공학 & 시스템설계] ..
2023. 12. 26.
전기저항과 발열량의 관계 (저항, 전도도, 전력), 원리, 개념 ,이해
저항과 발열량의 관계는 비례하기도 반비례하기도 합니다. 그 기준에는 저항 변화에 따른 전류의 변화 유무가 있습니다. 저항이 클수록 발열량이 크다 저항이 크다는 것은, 전하의 충돌이 많으므로 발열량이 커진다는 생각 흐름인데 전하의 이동에서 충돌로 인한 에너지 로스, 그리고 그 에너지는 주로 열로써 방출됩니다. 이동에너지 --> 열에너지 - 대체로 많은 에너지는 가장,, 안정한? 준위가 낮은? 열에너지로 퍼져나가게 됩니다. - 그렇기에 많은 기구시스템의 효율이 이 에너지 로스를 얼마나 잡냐에 따라 관건이고.. - 전기는 그나마 로스가 덜하여 시스템 효율이 잘 나오는 편이지만, 전류 및 저항 정도에 따라 발열이 생기게 됩니다. 여기서, 간단히 배운 공식이 하나 있습니다. V = I R 시스템 동일 전압하에 저..
2023. 1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