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88

[전기차, 전기모터] 엔진과 구동모터, 내연기관과 전동기 각 원리, 비교 - 엔진과 구동모터 - 내연기관과 전동기 엔진과 구동모터 엔진 화학에너지 -> 운동에너지 ~ 점화, 급격한 팽창 -> 피스톤에 부착된 커넥팅로드에 의해 크랭크샤프트에 힘이 전달(직선운동이 회전운동으로) -> 발생된 회전력이 변속기와 드라이브샤프트를 거쳐 휠까지 전달 엔진구조 및 명칭 환경규제 강화 & 자동차 무게를 줄이기 위해 엔진 경량화 -> 실리넏 헤드 커버와 실린더 블록을 기존의 철 소재 대신 마그네슘 합금/알루미늄 합금을 사용 그런이유로, 옛날 차 보다 최근 차들의 엔진은 엔진오일을 일찍 갈아줄 필요가 없음 (기존 철 소재에서 발생하던 버 같은 것들이 마그네슘 합금/알루미늄 합금에서는 훨씬 덜 발생) 구동모터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이 매우 적다. 전기차 특유의 조용하고 안락한 승차감 (이라곤 하지만.. 2023. 3. 26.
[전기차] 전기차 후방산업의 시장성, 시장 방향 - 배터리- 반도체- 시장성  안정성, 편의성 제고를 중심으로 하는 자율주행 + 배기가스 저감을 중심으로 하는 친환경차 // 배터리전기차 제조사는 자동차의 성능과 원가에 영향을 미치는 배터리 모듈과 팩 등을 내재화하여 배터리 경쟁력을 강화  배터리의 최종적인 성능에는 셀을 컨트롤하며 효율을 높이는 알고리즘과 폭발 등의 사고를 차단하는 안전기술 등이 중요. 실제로 배터리 셀은 배터리 회사에서 때오지만, 모듈 팩 등의 패키지 및 안전기술 등은 차량기업에서 직접 하는 경우가 많다.전기차 생산업체들이 전기차 전용 플랫폼(현재도 각 차량 기업들마다 배터리 모듈 플랫폼이 있음)을 도입하고 배터리 스펙을 규격화 하면 설계 변경 없이도 배터리 공급처 변경이 가능하기 때문에 배터리 업체와의 파트너십이 약화될 가능성 전기.. 2023. 3. 24.
[전기차, 전기모터] 베어링 종류(받는 하중 방향/철볼종류) + 베어링 4대 메이커 - 베어링 - 일반적인 베어링 종류 - 받는 하중의 방향에 따른 분류 베어링 베어링 종류가 많은지 몰랐습니다 :( 이번에 회사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함에 있어, 갑자기 롤러 베어링이 하나 튀어나와서 ㅋㅋㅋ 테이퍼 형상이 아닌 그냥 롤이라 축방향 안정성 및 힘이 떨어지고 조립 공차의 어려움에 고생했어요 아직 잘 모르나 베어링 내륜 외륜 간의 공차의 타이트함에 내외륜 각각 조립 후 해당 파츠를 조립하려니 베어링 공차 안에 들어가는 조립 공차가 나오기 어려웠습니다. 아무튼 ! 베어링 종류 간단히.. 나열해보고 갑니다 :) 일반적인 베어링 종류 볼베어링 볼이 내륜과 외륜에 점 접촉하는 만큼 구름저항이 적다 접촉점이 작아 하중의 영향을 크게 받으므로 고하중(톤 단위~ 공장이나 건설현장)에는 어울리지 않다 = 오래 사.. 2023. 3. 20.
[전기차, 전기모터] 베어링 전식 - 모터에 사용, 발생원인, 대응책 - 베어링, 베어링 전식 - 전기모터, 전동기에 사용되는 베어링 - 베어링 전식 발생 - 베어링 전식 대응책 베어링, 베어링 전식 베어링, 베어링 전식 베어링 전식: 전기적인 원인으로, 베어링에서 발생하는 부식. 순환식 및 비순확식 2가지 존재 베어링: 회전자가 고정자와 간섭없이 고정자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운동하는 동시에 마찰력은 최소화 시키는 부품 전기모터, 전동기에 사용되는 베어링 주로 볼 베어링, 전동기에는 기본적으로 베어링 2개 (하우징에 연결되는 샤프트의 두 부분) 전동기는 기본적으로 모터부만 있을 경우, 앞뒤 케이스/하우징과 샤프트가 연결되는 부분에 베어링 사용, 추가적으로 감속기 파트 등이 추가될 경우 감속기의 구성에 맞는 베어링 개수 및 종류가 필요 감속기의 샤프트와 독립적으로 돌아가는 모.. 2023. 3. 19.
유체와 유동 (비압축성/압축성, 점성/비점성 개념 예시) + 이상유체 조건은? - 유체와 유동 - 비압축성, 압축성 유체와 유동 - 점성, 비점성 유체와 유동 유체와 유동 유체: 유동성이 있는 물질 물, 공기, 수은, 기름, ... 유동: 흐름, 유체가 흐르는 현상 난류 유동, 비정상 흐름, 압축성 유동, 비점성 유동, ... 비압축성, 압축성 유체와 유동 비압축성 유체 = 압력을 가했을 때, 밀도 변화가 거의 없는 유체, 대부분의 액체가 이에 포함 압축성 유체, 대부분의 기체가 이에 포함 비압축성 유동 = 유체가 이동하며 흐름 내의 유체들의 밀도 변화가 없는 것 유동 중 유체의 밀도가 거의 일정하여 상수로 취급하는 운동 압축성 유동 = 유체가 이동하며 밀도가 변하는 유동 액체의 유동을 압축성 유동으로 취급하는 경우 수압관 속의 수격작용 (water hammering) 디젤 기관 .. 2023. 3. 18.
[전기차, 전기모터] PMSM 표면 부착형과 자석매입형 PMSM =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영구자석 동기모터 표면 부착형: 누설자속이 작고 착자성능이 우수하나 (착자 = 자석에 자구를 일정하게 만들어주는 과정, 자성 힘을 빡, 자구가 고정되는 소재에 넣어줌으로써 착자한다 함.) 고속에서의 회전 안정성이 낮고 추가적인 릴럭턴스 토크가 없음 자석매입형: 고속 안정성이 높고 (튀어나갈 걱정 x) 추가적인 릴럭턴스 토크가 존재하나 누설자속이 크고 착자성능이 낮음 // 릴럭턴스 토크와 누설자속에 대해선 추후에 자세히 정리해볼까 합니다. 장단점 매입형 장점: 자동차 전동기에 매입형을 주로 사용 (기계적) 고속 회전에 적합 (주조적 강인, 안정) 회전자 코어 내 자석 삽입으로 자석 비산 위험이 없다 (자기적) 자석비산 방지를 위한 .. 2023. 3.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