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88

엔진, 전기모터의 성능지표 : 토크와 마력 개념/차이 + cc(씨씨, 배기량) 개념 - 자동차 - 엔진, 전기모터의 성능지표 : 토크와 마력 개념/차이 - 토크 - 마력 - 토크와 마력의 차이 의미 - 자동차 엔진 배기량 (cc, 씨씨) 에 대해 엔진, 전기모터의 성능지표 : 토크와 마력 개념/차이 - 자동차 마력과 토크의 차이점은 토크는 바퀴를 돌리는 힘 마력은 달릴 수 있는 힘 토크가 순간적인 힘이라면 마력은 토크에 속도 개념이 들어간 힘이 아닌 일률에 가까운 개념입니다. 토크가 높은 차량은 순간적인 가속도가 좋아 언덕 주행에 유리하고, 더 무거운 무게(차체+짐+인원)를 움직일 수 있습니다. (차체가 크거나, 산악지역 운행, 정지와 출발을 반복하는 도심 주행에서 중요한 치수) 동일 차체 무게에서 마력이 높은 차량은 최고속도가 빠르고 평지 주행에 유리합니다. (고속도로, 스포츠에 유리) 토크 토.. 2023. 9. 23.
[생산공정/가공기술] 프레스 공법 - 개념, 종류, 특징 - 프레스 가공이란 - 프레스 가공의 예 - 프레스 공법 종류 프레스 가공이란 프레스 공법은 얇은 금속판을 만들거나, 얇은 금속판으로 절단된 혹은 구부려진 형상을 만들때 쓰는 공법으로 쉽게 말해 얇은 판은 두고 강한 힘으로 쾅 찍어 가공하는 모든 방식을 프레스라 합니다. 얇은 판의 위아래 혹은 양쪽에 두고 쾅 찍는 부분을 금형이라 하며 이러한 금형의 공차는 타이트하게 관리되며, 양산 갯수를 생각해 강성 강도 또한 큰 소재를 사용해 가공해 만듭니다. 이러한 금형을 만드는 비용이 상당합니다 금형에도 몇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우선 단발금형 : 프레스를 하는 과정이 한방에 제품을 만들어 내기도 하지만, 복잡한 형상은 여러번의 프레스 과정을 거치며 하나의 제품을 만들어 내게 됩니다. 단발금형은 눌렀을때 하나의 금.. 2023. 3. 31.
[전기차, 내연기관차] 기계적인 구성품 - 감속, 변속, 섀시, 현가, 제동, 조향 감속기 모터의 특성에 맞춰 동력을 바퀴에 더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고안된 일종의 변속기 모터는 분당 회전수(RPM)가 내연기관 엔진 보다 훨씬 높다. 회전수를 상황에 맞기 바꾸는 변속이 아닌, 회전수를 하향 조정(감속)하는 역할 수행 = 속도를 낮춰 높은 회전력(토크)를 얻어 변속기(Transmission) 엔진의 힘을 자동차의 동력원으로 전환시키는 동력전달 장치 중 하나 엔진의 동력(회전력) ==> 바퀴를 움직이게 하는 토크(동력원)로 변환 정차 시, 엔진의 공회전을 가능하게 하며 후진을 가능하게 합니다. 새시 (Chassis) 자동차가 구동하는데 필요한 모든 장치를 의미 엔진이나 파워트레인은 새시의 범주에서 제외하고 변도의 구성으로 부서를 조직, 별개의 부품으로 간주하는 경우가 많다. (완성차 업.. 2023. 3. 30.
[전기차, 전기모터] 전력변환장치(기기) - OBC, LDC(컨버터), 인버터 회로도 + 기본구성부품 전력변환장치 전기에너지 - 형태변형 --> " 전기모터 구동 / 배터리 충전 / 전기 시스템간 에너지 교환 " 의 역할을 해주는 기기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전력변환자치 = OBC, LDC(컨버터), 인버터 인버터: 배터리의 직류전압을 받아서 3상 교류전기를 만들어 3상 모터를 구동하고 제어하는 전력변환장치 이전부터 패키징의 중요성과 공간활요성의 중요성으로 모터+감속기+인버터 3in1 system이라 하는 통합형 모듈 제품으로 만들어 시장에 제공하는 단위가 생김 이제는,, beam axle / rigid axle 까지 ..가 트렌드일지도 인버터의 역할 자동차가 기계에너지를 잃어버리며 정지할 때, 기계 -> 전기 회생제동시에 에너지 변환의 매개체 전기모터가 사용자의 패달 인풋값과 환경조건에 따라 올바른 토크.. 2023. 3. 29.
[전기차, 전동기] 파워트레인(Powertrain) + 트렌드, 전기차와 내연기관 비교 파워트레인(Powertrain) 동력장치에서 생산한 동력을 바퀴에 전달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시스템 동력 전달 부품만 의미 or 대부분 동력 생산 장치까지 포함하여 구분 핵심 : 파워트레인은 동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부분으로, 성능의 차별성은 얼마나 효율적으로 동력을 만들고 전달하는지에 달림 --> 점점 전동화되고 전달루트를 줄이는 방향으로 효율을 살리고자 하는 것이 트렌드로 알고 있다 :) 파워트레인의 기능은 무엇일까? 파워트레인은 화석연료, 전지 등의 형태로 저장된 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변환하고 자동차, 항공기, 선박 등을 움직일 수 있게 하는 등 동력을 부옇나느 모든 부품의 집합체다. 파워트레인은 엔진과 변속기, 드라이브 샤프트, 모터 등 동력을 전달하는 메커니즘 세트를 말한다. 전기차의 파워트레인.. 2023. 3. 28.
[전기차, 자동차] 직무 관련 용어 마구잡이로 :) Stop & Go: 정차 상황에서 엔진의 시동을 끄고, 발진 시 모터를 이용하여 구동하는 기능 + 신호 대기 등의 상황에서 엔진의 시동을 끄고, 발진 시 모터를 이용하여 구동 (= 정차 중 엔진 작동 중지 가능, 엔진 idling ~ 연료 절감 + 모터는 저속/고토크로 발진기능에 활용되면 효율이 좋아 + 주행감 향상) 회생제동: 제동이나 내리막길 주행 시에 버려지는 제동에너지를 회수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기능 // 1.5t 100m 내려오면 손실 위치에너지 = 0.4kWh / 시속 100km/h 정차시 손실 운동에너지 = 0.16kWh // 저속의 경우, 모터의 불안정한 제어 특성으로 저속 제동일 때는 회생제동과 유압브레이크를 동시에 사용 동력 보조: 두 개의 동력원이 있는 자동차에서 주 동력원의 작동 .. 2023. 3.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