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88

[전기차, 전기모터] 철손 - 히스테리시스 손실 : 개념, 사용법, 곡선, 완화 철심, 철 소재에 자석을 가져다 놓으면 철은 강자성물체로, 보통때는 자성을 띠지 않다가 자석과 같은 영구자석 물질, 자성을 띠는 물질을 가져다 대면, 이에 반응해 자성을 갖는 물질이다. 그렇기에 철 소재에 자석을 가져다 대면 자기쌍극자모멘트의 변화가 일어나며 자성을 갖게 된다 자석, 자기장의 세기에 비례하여 철 소재의 자성을 띠는 크기도 커지며 아래와 같이 그림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철이 자기장에 반응하여 강자성 물체로서 자성을 갖게 되고, 자기장의 세기에 반응해 변하는 과정을 자화특성곡선으로 나타낼 수 있다. 외부 자기장이 쌔짐에 따라, 철의 자기쌍극자모멘트의 합력, 철이 갖는 자기성분의 세기가 포화치, Limit치를 가지며 완만하게 비례해 상승하게 됨을 나타낸 곡선이다. H는 외부에서 걸어준 .. 2024. 2. 26.
시스템 구성에서 펌프와 열교환기의 위치 | 펌프와 열교환기 원리/개념/기능/사용법 시스템 구성에서 펌프와 열교환기의 위치 무엇이 우선인가 종종 얘기가 나오곤 하는데 모든 상황에 맞아 떨어지는 우선 순위는 없는 것 같습니다. 펌프가 먼저? 열교환기가 펌프 이후면(펌프 - 열교환기 - 시스템) 비교적 낮은 점도, 고온에서 펌프가 구동을 하기 때문에 펌프의 구동 면에서 유리한 면이 있을 수 있다. 다만, 펌프의 사용 온도 조건을 잘 확인해야 할 것이다. 만약 펌프의 사용 온도가 100도까지인데, 시스템에서 120도로 나온다면,, 열교환기를 거쳐 펌프 허용 온도 및 시스템 필요 온도로 낮춘 후에 펌프에 들여보내면 좋겠다. (위와 같이 구성할 경우, 열교환기 - 펌프 - 시스템) 펌프가 열교환기의 앞단에 위치하며 (펌프 - 열교환기 - 시스템) 데이터를 뽑는 것은 열교환기에서의 열교환기 냉각수.. 2024. 2. 15.
플레밍의 왼손/오른손 법칙, 전자기 유도 법칙, 오른 나사 법칙 전자기유도 법칙 전자기유도 법칙 : 자기장 변화, 자계에 의해 전압(기전력)이 유도(생성)되는 법칙 자기장의 변화로 전압이 유도되어 전류가 흐르고 해당 에너지를 저장하기도 합니다. 보통 기계적인 작동으로 자기장의 변화를 만들고 이를 전기에너지로 저장하는데 그렇기에 기계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해주는 한 방법으로 전자기유도를 사용합니다 발전기에서 사용되고, 전기차/하이브리드 자동차의 회생재동에서도 사용됩니다. 방향 : 렌쯔의 법칙 = 자속의 변화(증감)에 반대되는, 방해하는 방향 법칙으로 설명되지만, 그냥 변화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현 상황을 유지하고자 하는 항상성의 원리 등으로 생각하셔도 됩니다. 크기 페러데이 법칙 : 유도기전력 e = (감긴 권선 수) * (시간에 따른 자속의 변화량) 감긴 권선 수.. 2024. 2. 13.
[전기모터 전기차] 와전류, 와전류손, 코어의 다판구조, 발열의 연결 내용 와전류 P = (tfB)^2 [W] t: 도체의 두께 f: 주파수 B : 자속밀도 위 사진은 유도모터의 원리로, 알루미늄(비자성체) 같은 자기장에 반응하는 소재를 회전체로 두고 자기장을 회전시켜 줌으로 써 자기장의 변화로인한 자성체의 힘의 방향이 생성되어 회전하는 원리이다. 다만 위와 같이 자기장의 방향이 원판에 수직으로 행애지면 맴돌이 전류가 원판내에 흐르기 때문에 와전류 수식인 t, 도체의 두께에 크게 상관없이 원판에 잔류 맴돌이 전류가 도미넌트한 흐름으로 돌고, 전자의 흐름에 따라 저항에 의한 열이 크게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유도전동기는 PMSM 전동기에 비해 회전자의 냉각이 더욱 중요시 된다고 알고 있다. - 그때문에 테슬라는 샤프트를 통한 회전자의 오일 냉각 기법을 유도 전동기에 .. 2024. 1. 8.
배터리 시장은 초입에 불과 - 시장 가능성 배터리 시장은 이제서야 초입에 불과하다 전기차 시장이 주춤하고 세계 경제가 어려운 상황에, 다시 내연기관을 끌어들이고, 전기차로의 전환 정책 시기를 늦추는 등의 행보가 이어지지만 - 특정 차종은 35년 내연기관 퇴출을 위한, 25년부터 생산 단종을 말하는 업체들도 있습니다. 어찌되었든 전기에너지를 사용한 친환경 에너지로의 변환 (전기 에너지의 생성 부터 친환경이 되어야 하지만, 우선은 그 앞단인, 전기 에너지를 사용한 산업 생활부터 꾸리는 것이라 본다) 앞으로의 시대 AI 및 자동화, 친환경 시대에서 전기에너지와 반도체는 때고 생각할 수 없는 시대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전기에너지를 사용하는데에 필수적으로 사용 되는 것이 현재로썬 배터리이다. 전기차 시장만 생각할 수도 있지만 무거운 차량 및 적재량들을 전기.. 2024. 1. 7.
현관문 조절 방법] 빨리 쾅 닫힐 때, 안 닫힐 때, 덜 닫힐 때 현관문은 현관문의 조절기 안의 가스가 부족해서 혹은 계절에 따라 잘 닫히고 안 닫히고 변할 수 있다고 합니다. 간단히 나사만 풀고 잠그고로 해당 상황을 해결할 수 있음을 알려드릴게요 :) 우선 저기 1자 나사를 풀고 조임으로써 문의 닫히는 속도가 변합니다 현관문은 2단계로 문을 당기는데 위와 같은 원리로 두단계로 나뉩니다. 우리는 1자 나사를 돌릴 것이고 +나사 쪽에 보면 1, 2의 숫자가 적혀있습니다. 1이 1차 속도를 2가 2차 속도를 조절하는 나사의 위치를 나타내는 숫자 표기입니다. 드라이버가 녹슬었지만 :p 아직까진 일을 잘 합니다 ㅎㅎ 부모님께서 최근에 문을.. 고치신 이후로? 뭔갈 한 이후로 문이 안 닫히신다고 했어요.. 1번 조금 열어주고 (너무 열어주면 문이 빨리 닫히기에 불편할 수 있습니.. 2024. 1.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