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변환장치
전기에너지 - 형태변형 --> " 전기모터 구동 / 배터리 충전 / 전기 시스템간 에너지 교환 " 의 역할을 해주는 기기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전력변환자치 = OBC, LDC(컨버터), 인버터
인버터: 배터리의 직류전압을 받아서 3상 교류전기를 만들어 3상 모터를 구동하고 제어하는 전력변환장치
이전부터 패키징의 중요성과 공간활요성의 중요성으로 모터+감속기+인버터 3in1 system이라 하는 통합형 모듈 제품으로 만들어 시장에 제공하는 단위가 생김
이제는,, beam axle / rigid axle 까지 ..가 트렌드일지도
인버터의 역할
자동차가 기계에너지를 잃어버리며 정지할 때, 기계 -> 전기 회생제동시에 에너지 변환의 매개체
전기모터가 사용자의 패달 인풋값과 환경조건에 따라 올바른 토크 및 rpm을 낼 수 있게 제어하는 역할
직류 <==> 교류 변환
OBC (On-Board Charger) = 상용 교류 전원으로부터 자동차의 고압 배터리로 충전하는 장치
교류 => 직류
LDC컨버터:
자동차의 고압 배터리로부터 직류 전압을 받아서 차량내 12V 저압 직류 시스템에 전기를 공급하는 장치 (차량 내의 여러 시스템 및 장치를 구동하기 위해 필요한 전압인 12 or 24 V)
윈도우, 시트움직임 등의 직류모터, 라이트, 냉각 싸이클을 위한 펌프, 온도 조절 장치들 등이 이에 해당.
아마 많은 회로/보드 및 통신장치들도 이정도의 전압을 사용하지 않을까?
자동차 시스템에서 구동에 초점을 맞춘 메인을 제외한 모든 장치들은 12 or 24 V 먹지 않을까 생각된다.
고압직류 -> 저압직류
인버터 ~ 98% 효율
OBC ~ 94~97% 효율
LDC ~ 다른 제품들 보다 효율이 낮지만 꾸준히 높여가는 중
전력밀도, 에너지 효율등의 상승을 위해 여러 기술 융합 및 연구를 진행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 중 하나가 트렌지스터 사용 소재 선정 연구
전력변환 동작원리의 핵심은 트랜지스터이다.
2020.09.16 - [정리, 공부/전기, 전자, 통신] - 트렌지스터 기본 구조/원리(P/N형, 다이오드, NPN) 트랜지스터
트렌지스터 기본 구조/원리(P/N형, 다이오드, NPN) 트랜지스터
- Transistor란 - 종류와 타입 - P형/N형 & 다이오드 - 항복전압 - Transistor 원리 Transistor 란 트렌지스터는 입력과 출력을 가지고, 신호를 증폭이나 변환시켜 전기에너지를 변환시키는 능동소자입니다.
setoo0922.tistory.com
트렌지스터는 한방향 전류 흐름만 가능한 파츠
트렌지스터를 일종의 전기 스위치로 이용 + on/off하는 시간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부하측으로 전달되는 평균 전압을 제어 (PWM같은,, 느낌으로 저항값 조절해서 하는 듯 ??)
(컨버터 제품의 회로를 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는 인덕터라는 부품도 들어간다. ~ 일종의 에너지 저장부품?)
2022.02.10 - [분류 전체보기] - 인덕터(Inductor) 코일 인덕턴스란, 회로에 왜 필요한지, 어떻게 사용되는지
인덕터(Inductor) 코일 인덕턴스란, 회로에 왜 필요한지, 어떻게 사용되는지
- 인덕터(Inductor) 코일 인덕턴스란 - 인덕터(Inductor)는 왜 필요한가 - 인덕터(Inductor)와 캐패시터(capacitor)의 활용 인덕터(Inductor) 코일 인덕턴스란 반도체, IC하는 분들에게는 인덕터(Inductor)로 불리
setoo0922.tistory.com
+ 직류로부터 +와-를 갖는 교류전압도 만들어 낼 수 있다.
어느 부분의 전류를 흐르게 하냐 마냐를 결정함으로 최종 아웃풋 전류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
(교류 <--> 직류 변환해주는 장치들의 회로를 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Ref
https://www.e4ds.com/sub_view.asp?ch=11&t=0&idx=13151
전기차 효율 개선, 파워트레인 시스템 통합에 달렸다 - e4ds 뉴스
더 적은 부품으로 더 많은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용 애플리케이션은 차량의 무게와 비용을 줄이고 안정성을..
www.e4ds.com
http://jwkang7.wo.to/pds11/1104.htm
강주원 자동차 홈
▣ On Board Charger 회로 ◈ 외부로부터 AC 전원을 이용하여 DC로 변환한 후 배터리를 완속 충전하는 부품으로 일종의 컨버터이다 . ◈ PFC(Power factor correction) Boost Converter : PFC 부스트 컨버터(통력계수
jwkang7.wo.to
'서브 공부 > 전기, 전자, 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레밍의 왼손/오른손 법칙, 전자기 유도 법칙, 오른 나사 법칙 (0) | 2024.02.13 |
---|---|
회로에서 저항을 사용하는 이유, 직렬/병렬을 하는 이유 (2) | 2022.02.10 |
인덕터(Inductor) 코일 인덕턴스란, 회로에 왜 필요한지, 어떻게 사용되는지 (1) | 2022.02.10 |
캐패시터(capacitor)/콘덴서란, 회로에 왜 필요한지, 직렬/병렬 (0) | 2022.02.09 |
Impendance(인피던스, 온저항)이란, mismatch, 왜 중요? (0) | 2022.02.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