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88

전기차] 친환경차의 분류 & 내연기관 과의 간단한 비교 - 친환경차의 분류 - 내연기관과의 간단한 비교 친환경차의 분류 ICE (internal combustion engine) 내연기관 HEV 하이브리드: 배터리(용량 작아, 보조 or 발전기)+연료(내연, 주 동력원): 고연비, 고효율 PHEV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외부에서 충전한 배터리(HEV 보다 용량 조금 커)+연료(내연) BEV 순수 배터리전기차 FCEV 수소연료전지차: 수소와 산소 반응시켜 전기 얻어 모터 구동 or 자체 발전시스템을 갖춘 전기자동차(+ ESS, 배터리탑재 = 전기화학반응이 따라가지 못하는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보조 + 회생제동 등의 발전기 역할) ISG: Stop & Go = 정지, 출발 시 엔진 보다 전기모터의 효율/토크가 좋다. 회생제동: 내리막길 혹은 달리다 추가적인 출력을 .. 2022. 3. 11.
전기차] 배터리의 적절한 온도 & 온도 조절을 위한 히트펌프 시스템 - 배터리의 적절한 온도 - 고온, 저온에서의 배터리 - 적정온도 유지를 위한 히트펌프 시스템 배터리 온도 배터리의 반응성과 성능이 가장 좋은 온도 범위가 15-40도 라고 합니다. 보통 배터리, 전자제품의 열관리를 생각하면 제품의 사용으로 방출되는 열을 잡고자 하는 냉각시스템을 생각하지만 전기차의 배터리는 히팅시스템도 필요합니다. 바깥 기온이 영하권으로 떨어지고 아주 추운 날에는 핸드폰의 배터리가 쉽게 방전되듯, 전기차의 배터리도 최고의 성능을 낼 수 있는 온도값을 유지해주어야 합니다. 고온, 저온에서의 배터리 고온환경에 노출 시: 화학적 부반응(우리가 원하는 전기화학이 아닌 일반화학반응)으로 인한 가스발생 및 팽창 -> 내부저항 증가 및 비가역적인 용량 감소 저온환경에 노출 시: 출력저하, 저온에서 .. 2022. 3. 10.
전기차] 배터리 재생기술, 폐배터리 재사용/재활용 - 배터리 재사용/재활용 - 폐배터리 재사용 - 폐배터리 재활용 배터리 재사용/재활용 앞으로 배터리 생산량을 생산한 재사용/재활용 방안 필요 특히 리튬의 경우, 원산지가 제한적인 한계가 존재 자원의 재활용이 필요 폐배터리 ~ 재조립하여 다른 목적으로 사용 or 재료단위로 분해하여 유가원소 회수(경제성 제고) 폐배터리 재사용 폐배터리 재사용(reuse): 폐배터리팩을 검사하여 다시 사용(direct reuse)하거나 분해하여 재조립(module reconfiguration)하여 다시 사용하는 방법 폐배터리 재활용 폐배터리 재활용(recycle): 배터리를 전처리공정(해체공정), 자원회수공정(화학공정)을 통해 재처리하여 유가원소(구리, 코발트, 니켈, 망간 등)를 회수하는 방법 폐 리튬이온전지 내 유가원소 .. 2022. 3. 9.
전기차] 배터리 안전성 평가, Abuse test (Mechanical, Thermal, Electrical) - 전기차 배터리 안전성 검사, abuse test - 배터리의 기계적 안전성 검사, mechanical abuse test - 배터리의 열적 안전성 검사, thermal abuse test - 배터리의 전기적 안전성 검사, electrical abuse test 전기차 배터리 안전성 검사, abuse test Abuse test (Mechanical, Thermal, Electrical) 진동 충격 혹한기 혹서기, 가혹한 상태에 놓여있음 ~ 안전성 평가 필요 (기계적, 열적, 전기적) 배터리의 기계적 안전성 검사, mechanical abuse test Mechanical abuse test: 기계적 위험상황을 시험평가/shock/drop/penetration/roll-over/immersion 충격시.. 2022. 3. 8.
전기차] BMS 기능 및 구성, 사양, 배터리 온도 균일화 방법 - 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 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기능 및 구성 - BMS 사양 - BMS 배터리 온도 균일화 방법 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기능: 출력, 전류제어, 용량관리, 유지보수, 열관리 ~ 배터리 제어 시스템 배터리 수명에 영향 & 높은 비율의 생산단가 -> 관련 기술 필요 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기능 및 구성 기능: Cell balancing: 배터리팩 충전 시 각 배터리셀들을 균일하게 충전하도록 제어하는 기술 Short-circuit protection: 단락으로 인한 과전류로 배터리팩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 Overcharge protection:.. 2022. 3. 7.
전기차] TMS 개발절차, TMS 종류, 각각의 설계 - 전기차 배터리 TMS 개발절차 - 전기차 배터리 TMS 종류 - 전기차 배터리 TMS, 공랭식 - 전기차 배터리 TMS, 수냉식 전기차 배터리 TMS 개발절차 (1) 배터리셀 기초 데이터 획득: 열물성, 내부저항, 발열량 -> 배터리팩 layout 검토(얻은 데이터로 검토) 및 냉각방식 결정(공?수?) (2) 배터리 모듈/팩 설계 (3) 배터리모듈/팩 3차원 열해석 ~ 배터리팩 내부에 열이 균일? 열저항 얼마(해석값)? (4) 시제품 제작 및 실험 – 열적 거동을 테스트 – 실제 열저항(실험값) 획득 (5) 실제 열저항 값을 가지고 3차원 열해석 재수행 – 설계개선 및 해석모델 보완 – 열저항 보정 ~ 시뮬레이션 값의 정확도를 높인다. (6) 최종적으로 얻은 열저항 값을 가지고 long-term si.. 2022. 3.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