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88

전기차 전동기(모터)의 장단점 & 어떤 기술이 더 필요한가 - 전기차 전동기(모터)의 장점 - 전기차 전동기(모터)의 단점 - 전기차 전동기(모터)의 효율 상승을 위해 어떤 기술이 더 필요한가 전기차 전동기(모터)의 장점 고효율 작동(에너지 손실, 발열 비교적 적어), 저속에서 고출력(고토크)이 가능하다(발진장치가 필요하지 않다.), 회생 제동 가능(발전기 역할) 고효율, 최고효율 95%인 모터 + 인버터의 효율도 매우 높아(동력원에 의한 발열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고효율 시스템 구성) 에너지 수송 용이 (하지만 실질, 연료생산부터의 전체 효율은 내연기관 차량과 10% 차이) 2022.03.27 - [정리, 공부/기계공학 & 시스템설계] - 전기모터, 전동기] 내연기관(변속기)과 전기모터(감속기), 차량 주행의 요구 토크 전기모터, 전동기] 내연기관(변속기)과 전.. 2022. 2. 23.
자동차(전기차) 핵심 부품(엔진,모터,파워트레인,전력변환기,섀시,감속기) 정리 - 엔진, 구동모터 (내연기관 전동기) - 파워트레인 - 전력변환기기 - 감속기, 변속기 - 섀시 (현가, 제동, 조향 장치) 엔진, 구동모터 (내연기관 전동기) 엔진 화학에너지 -> 운동에너지 ~ 점화, 급격한 팽창 -> 피스톤에 부착된 커넥팅로드에 의해 크랭크샤프트에 힘이 전달(직선운동이 회전운동으로) -> 발생된 회전력이 변속기와 드라이브샤프트를 거쳐 휠까지 전달 환경규제 강화 & 자동차 무게를 줄이기 위해 엔진 경량화 -> 실린더 헤드 커버와 실린더 블록을 기존의 철 소재 대신 마그네슘 합금/알루미늄 합금을 사용 구동모터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이 매우 적다. 전기차 특유의 조용하고 안락한 승차감 구동모터는 발전기로도 변환한다. 내리막길 등 탄력 주행 시 발생하는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해 배터.. 2022. 2. 22.
친환경차 전기차 비교 분석법, LCA Well to Wheel, CO2발생량 분석 전주기적 분석(전과정 평가) (LCA, Life Cycle Assessment) 차량제작, 연료생산 및 운반, 차량 운행 및 폐기까지 모든 과정에서 발생하는 CO2 분석 에너지 생산, 에너지 운송, 차량운행, 제작 폐기 Well to Wheel(전과정에서의 CO2발생량 비교) 차량 제작/처리 단계 원재료에서 주에너지원 뽑아내고 차량탱크까지 오는 단계 차량 사용에서 발생하는 CO2 Petrol: 휘발유 Coal electricity: 석탄/화석연료로부터 전기생산 ICE (Internal Combustion Engine) BEV (Basic Electrical Vehicle) HEV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Plug-in ‘’ ‘’ ‘’) FCEV (Fuel Cell Elec.. 2022. 2. 21.
디젤게이트(2015) 디젤게이트 ~ 2005년부터 디젤이 가솔린 보다 청정, 친환경적이라 배출가스량 데이터를 조작해온 사실이 2015년에 발각 폭스바겐 그룹의 자회사인 아우디, 포르쉐, 스코다, 세아트 이외에도 스텔란티스 산하의 피아트, 크라이슬러, 오펠 그리고 메르세데스 벤츠, 르노-닛산-미쓰비시 얼라이언스 등 디젤 승용차 및 SUV를 생산하는 유럽 자동차 회사들의 대부분이 여기에 연루 클린 디젤이 근거로 내세운 점은 디젤 엔진이 가솔린 엔진보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20% 가량 적다는 점이다. 실제로 디젤 엔진은 가솔린 엔진보다 10% ~ 20% 정도, LPG 엔진보다 20 ~ 30% 정도 이산화탄소가 적게 배출된다. 하지만 그래봤자 디젤 엔진이 가솔린, LPG 엔진보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크게 차이 나는 것은 아니다. 정.. 2022. 2. 20.
전기차와 전기차 주변부품의 시장성 차량 수익성 관련 위험 높은 해외 매출 비중 글로벌 자동차 산업의 영업환경 악화 + 자동차 관련 규제 강화 (환경, 자율주행) 안정성, 편의성 제고를 중심으로 하는 자율주행 + 배기가스 저감을 중심으로 하는 친환경차 중심 점점 전동화(전자, 코딩, AI) 소형차량의 공유 및 고령운전자의 교통사고가 급증할 것이라 판단 (인구 고령화+1,2인 가구 증가+청년층의 소득 감소로 인해) 배터리 전기차 제조사는 자동차의 성능과 원가에 영향을 미치는 배터리 모듈과 팩 등을 내재화하여 배터리 경쟁력을 강화 배터리의 최종적인 성능에는 셀을 컨트롤하며 효율을 높이는 알고리즘과 폭발 등의 사고를 차단하는 안전기술 등이 중요. 전기차 생산업체들이 전기차 전용 플랫폼(현재도 각 차량 기업들마다 배터리 모듈 플랫폼이 있음)을 도.. 2022. 2. 20.
현대차 차량 모델, 현대차 변화 방향 PAV, 로보틱스 ,라스트마일 모빌리티(Last Mile Mobility=전기자전거, 전동킥보드 ~ 마지막1마일 이동 ~ 개인 소유 보다는 공유 서비스 형태가 세계적인 트렌드) 등 준비 중 >> 자동차, 서비스업계로 확장 중 (로봇, 작은 딜리버리 로봇?) >> 소프트웨어에 집중, AI연구소, 개방형 플랫폼 활성화 계획 전기차: 한/미/중/유럽 등 주요시장은 30년부터, 인도 브라질 등 신흥시장은 35년부터 적극적으로 전환을 추진 계획 + 21년 처음 제네시스 브랜드 전기차 모델 출시 + 24년 이후 전동화 라인업 본격 확대 & 고성능 N브랜드와 SUV의 전동화도 3대 차별화 요소: 1. 디지털 사용자 경험 2. AI커넥티드 서비스 3. 안전 자율주행 북미: 4단계 이상 자율주행 상용화를 대비해 카셰어링.. 2022. 2.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