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차량용 배터리] 스웰링(swelling) 방지, 크러시(crush) 해석
- 배터리 스웰링(swelling)이 발생하면 - 배터리 스웰링(swelling)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설계 (공냉식, 수냉식, 비드, 하우징) - 배터리 하중, 주파수 응답, 크러시(crush) 해석 배터리 스웰링(swelling)이 발생하면 배터리팩의 구조설계 단계에서 셀 스웰링 현상을 고려해야 배터리팩의 파손이나 방열실패를 피할 수 있다. 스웰링 = 배터리셀 퇴화(오래)로 부풀어 오르는 것 스웰링이 발생하면, 배터리셀 자체 성능 떨어져(용량감소) 거리가 벌어짐에 따라 저항값 커져(출력저하) 하중을 견디지 못해 터져(구조 붕괴) -> 하우징 구조 중요성 배터리 스웰링(swelling)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설계 (공냉식, 수냉식, 비드, 하우징) 공랭식 배터리팩 셀 간의 간격에 air-gap이 존재하는데..
2022. 3.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