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88

전기모터, 전동기] 토크, F=BLI, 기본적인 상관관계 - F=BLI - 전류의 구분 - 전동기 토크 - 전동기의 사이즈 ~ 출력토크 - 정상상태 F=BLI F=BLI : 전동기에서 발생하는 힘은 계자자속의 크기, 전동기의 높이, 전기자 전류의 크기라는 3가지 물리량의 곱에 비례 1) 자기회로: 동일한 전류에서 가능한 큰 자속 B를 생성하기 위하여 자성체로 폐루프의 자기저항을 저감 그렇기에 모터의 구조에선 코일에서 생성된 자기장의 자기특성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 자성체인 철을 사용하고 + 특정 구조를 갖습니다. 2022.03.13 - [정리, 공부/제품 구성, 원리] - 전기차 전동기(모터) 구성 및 주변부 구성 전기차 전동기(모터) 구성 및 주변부 구성 - 전기차 전동기(모터) 주변부 구성 - 전기차 전동기(모터) 구성 - 내연기관 전기차 전동기(모터) 주변.. 2022. 3. 29.
전기모터, 전동기] 내연기관(변속기)과 전기모터(감속기), 차량 주행의 요구 토크 - 차량 주행의 요구 토크 - 내연기관, 엔진이 변속기를 사용하는 이유 - 전기모터, 전동기가 감속기만 필요한 이유 차량 주행의 요구 토크 차량은 주행을 시작할 때 가장 큰 토크를 요구합니다. 우리가 바닥에 있는 무거운 물체나 상자를 밀 때 시작부분에서 가장 큰 힘을 필요로 하고 (정지마찰) 우리가 미는 물체가 어느정도 움직임에 들어서면 비교적 적은 힘으로도 관성을 받아 기존의 방향으로 나아갑니다. (운동마찰) 그것과 비슷하게 자동차 또한, 처음에 멈춰있는 구동축들을 돌려주는데 가장 큰 힘을 요구하고 자동차가 어느정도 안정적인 주행(비교적 비슷한 속도로 유지되는 구간)에 들어서면 적은 힘으로도 충분한 움직임이 가능합니다. 그렇게 고속으로 올라서면 이때부터는 필요한 토크는 줄어들고, 관성이 붙기에 토크가 .. 2022. 3. 27.
전기차] 전기차와 내연기관차 비교 (0) 효율 차이 전기에너지의 발전= 주로 화석연료를 원료로 사용: 화석연료 화학에너지 -> 기계적에너지 -> 전기에너지 전기 생산도 친환경적으로 가고자 하는 움직임: (원자력,) 수력, 풍력, 태양열 + 핵융합발전 연구/개발 원료생산부터 비교하면 효율의 차이가 그리 크지 않아 (15 -> 25?) (1)기존 내연기관 대비 (원료에서 모션까지) 에너지변환효율이 높음 = 발생열이 적고(=냉각시스템 등의 공간 차지도 줄고 = 내부 공간 확대) + 배기가스가 없음(발전소에서는 발생) 핵융합발전이 가능해지면 정말 친환경 + 효율 상승 기대 (2)출력(토크) 응답속도가 빠르고, 고정밀 제어가 가능함 응답속도: 내연기관(수백ms), 전동기(수ms) (3)소음과 진동이 작다 (4)탑재 위치의 자유도 엔진 위치는 거의.. 2022. 3. 25.
전기모터, 전동기] 직류모터 / 교류모터 직류모터 직류모터: 전류/전압 크기 제어로 토크/속도 제어 직류모터의 제어 스위칭 식으로 가변저항의 크기 변화 – 전류의 크기 변화(전류와 모터 토크가 스탭 형태로 변화 ~ 운전자의 불편함 초래) -> PWM제어방식(고주파 펄스신호를 조작함으로써 모터의 출력 제어 ~ 전류를 세세히 쪼개어 제어, 제어결과 아날로그형태로 출력, 모터출력 부드럽게 변화) 회전력 – 전류의 크기에 비례 ~ 전류가 커지면 인버터 소자, 전선 허용 전류값이 높게 설정되어야 해 회전속도 – 전압에 비례 ~ 모터의 회전속도를 높이려면 전압값을 높게 설정해야 해 교류모터 교류모터: 배터리의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고, 다시 교류의 파형을 제어해 모터제어 (직류모터 보다 효율이 높다.) -> 대체로 인버터(직류를 3상의 교류 전원으로 변환,.. 2022. 3. 24.
전기차 전동기(모터) 구성 및 주변부 구성 - 전기차 전동기(모터) 주변부 구성 - 전기차 전동기(모터) 구성 - 내연기관 전기차 전동기(모터) 주변부 구성 PDM (power delivery module) or MCU (motor control unit) with 인버터(inverter) + 모터 + 기어박스(감속기?) + 냉각시스템(수냉은 주로 하우징 라인을 통한 냉각), 공랭과 유냉은 모터 내부 냉각) 전기차 전동기(모터) 구성 모터 구성 = 축(shaft) with 볼베어링 + 회전자(rotor) 코어 + 영구자석(permanent magnet) or 전선자계 + 고정자 코어 + 절연체(insulator) + 코일(coil) + 하우징 내연기관 엔진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간단한 형태 내연기관 2022. 3. 13.
전기차(EV) 시스템 구성, EV계통도 (전원, 배터리, 제어) - 배터리, BMS 계통도 - 내연기관과 전기차, 전기차 시스템 위치 - EV의 전원계통 & 제어계통 배터리, BMS 계통도 2022.03.03 - [정리, 공부/기계공학 & 시스템설계] - 전기차] 차량용 배터리 계통도, 배터리팩 주요 부품/구성 2022.03.07 - [분류 전체보기] - 전기차] BMS 기능 및 구성, 사양, 배터리 온도 균일화 방법 전기차 내부의 전체 연결을 보려면 앞서 포스팅 한, 배터리 & BMS 구성과 연결정도도 보고 오시면 도움될 것입니다 :) 내연기관과 전기차, 전기차 시스템 위치 내연기관: 엔진, 변속기, 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 흡기계, 배기계, 연료시스템 전기차: 전기모터, 감속기, 전기 와이어식 브레이크 시스템, 배터리, 충전기 주로 하단부에 넓게 배터리가 위치하고.. 2022. 3.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