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90 요새 경제, 취준 취뽀가 쉽지 않습니다 제가 들어오고 나서 얼마 지나지 않아,그래도 신입 친구들이 대거 뽑히고사업부에서도 신 사업을 진행하고 그랬는데 요새는 대기업들도 다들 감축한다고 하고자동차 업계도 내년에 추가로 뽑긴 쉽지 않겠다는 말이 나오곤 합니다. 대기업들이 어려우면협력하는 중소기업들도 어려울테고ㄴ 금리 인상 (대출 금리 인상 = 지출 증가)ㄴ 대기업들의 수주 능력 저하로 일거리 감소 = 인컴 감소 이럴 때는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 막막하기도 합니다.점점 소비 지출은 줄이고 어떻게는 아껴 살아야 하나를 고민합니다.그러면 내수 시장에 돈은 돌지 않고세계적으로도 돈이 점점 돌지 않는 느낌,자산 시장에만 몰리는 느낌인데 그러면 수출 기업들의 수입의 줆으로한화 가치 하락, 달러 유입 줄고, 대기업들의 자금 순환에 어려움이 생기며아래로 여파가 .. 2024. 11. 15. 구름저항 (Rolling Resistance, RR) - 히스테리시스 손실, 고무, 접지력, 안정성, 타이어 구름저항 영향 구름저항이 30% 증가하면 연료가 3~5% 더 든다는 결과가 있고한때의 프랑스에서 차량의 50% 이상이 공기압 0.3 bar 정도 부족하게 주행하고 있었다 합니다.이는 6% 의 구름저항 차이를 만드는 요인이 됩니다. (1 bar 부족 = 30% 구름저항 차이 발생) 구름저항은 간단히 보면 차량 구동에서의 저항성분 입니다.그렇기에 어찌보면 마찰력도 포함되는데,마찰력은 기본적으로 바퀴가 슬립(미끄럼) 되지 않고 노면을 밀어 굴러 앞으로 나가는 원동력이 되는 힘 입니다.그렇기에 무조건 접지력과 마찰력을 줄일 수 없지만, 기본적으로 손실이기에 열이 발생하며 에너지 손실이 발생합니다.즉, 낮은 구름저항과 높은 접지력을 가질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구름저항 주된 원인 구름저항 주된 원인 :타.. 2024. 11. 14. [유체역학] 압축성 비압축성 유동 압축성 유동과 비압축성 유동 유체의 밀도 변화 정도로압축성 / 비압축성 유동/유체로 나눈다밀도는 부피당 질량으로, 동일 질량에서 부피가 변하고 말고로 판단하면 편하다 (즉 압축되느냐 압축되지 않느냐) 보통 밀도의 변화가 있는 기체를 사용한 경우가 압축성유동 (compressible flow)보통 밀도의 변화가 적은 액체를 사용한 경우가 비압축성유동 (incompressible flow) 비압축성 유동 : 밀도가 전체 흐름에서 밀도/부피가 거의 일정하다면 비압축성으로 간주 액체는 주로 비압축성 ex) 물의 밀도를 1% 변하게 만드는데, 210 기압을 가해야 한다 공기 밀도를 1% 변하게 만드는데, 0.01 기압의 변화만으로 충분하다 Ma = V/c.. 2024. 11. 13. [유체역학] 층류와 난류 유동 (laminar flow, turbulent flow) 층류와 난류를 얘기할 때, 쉬이 나오는 예시가 하나 있다. 수도꼭지층류 : 약하게 틀면, 유리처럼 맑은 물 가닥이 나옴 (수도꼭지 토출구 보다 작게 물줄기가 형성됨)난류 : 세게 틀면, 불투명한 물이 마구 쏟아져 나옴 (수도꼭지 보다 크게 물줄기가 형성됨) = 물이 무질서하게 뒤섞이며 쏟아져 나오는 것 층류운동 (laminar flow) :유체입자들이 매끈한 층상 or 판상으로 이동하는 유동z 축 방향의 이동의 거의 없다시피 함, 이동방향으로만 끌고 나가고 밀려나가는 느낌의 유동매끄러운 흐름, 매우 질서정연한 유체 운동ex) 저속에서의 기름과 같은 고점성 유체의 유동 난류운동 (turbulent flow) :유체입자들이 이동하며 무작위한 3차원 속도변동으로, 급격히 섞이는 유동z 축 방향 이동 존재, 이.. 2024. 11. 12. [유체역학] 후류 이론/발달과정 - 점성 비점성 non-slip 경계층 역압력구배 유동 박리점 점성 비점성, 저항항력, 점성? 압력차? - 공이 날아갈 때 비점성유동을 고려한다면점성유동과 비점성유동 + 경계층, non slip boundary layer 후류 및 박리 점성 비점성, 저항 두 개의 유체층이 서로 상대 운동하거나,한 유체가 고체 표면을 타고 흐를 때 (파이프 내 이동, 고체 표면을 이동)유체간의 상대운동으로 유체 입자 간에 마찰력이 발생한다.속도가 늦는 유체 입자들이 빠른 입자들을 잡아 당겨 속도를 늦추려 하고이러한 작용이 연속적으로 일어나며 속도 구배를 갖게 된다. 서로 옆에 있는 다른 유체 입자를 잡아당기는 힘과 관련된 물성이유체의 점성이다. 점성은,액체 분자 간의 응집력기체 : 분자 간의 충돌 이러한 점성 (마찰) 작용이 중요한 유체를 점성 유동이라 함 (viscous f.. 2024. 11. 11. [유체역학] 표면장력 - 정의, 이해 표면장력 여름 장마철이 되기 전에 자동차를 좋아하고 관리하는 사람들은 차동차 차체 표면 및 유리에 왁스 처리를 한다 한번 해본 이들도, 이 편리함을 알기에 가급적이면 장마철이 오기 전에 앞유리 왁스처리는 하곤 한다. 보통의 자동차 표면에 물방울을 떨어뜨리면 동그랗지 못하고 퍼지며 형태가 무너지지만 왁스 처리가 잘 되어, 자동차 표면 및 유리가 친수성이 떨어지면 물을 떨어뜨려도 동그란 모양을 형성하며, 조금만 기울어지거나 물방울이 커지면 그냥 또르륵 흘러 내리곤 한다 그렇기에 장마철에 왁스 처리가 되어 있는 차는, 와이퍼질을 덜 하게 되고 (실상 와이퍼질을 하면 유리에 씌어둔 왁스가 조금 벗겨진다곤 하기에 더더욱 안 하기도 하지만) 그냥 떨어지는 물방울들이, 자동차의 속도에 의한 바람으로 두르륵 굴러 가버.. 2024. 11. 9. 이전 1 2 3 4 5 6 7 ··· 49 다음 반응형